이렇게 대놓고 걸어 놓으면 쪽팔려서라도 심심할 때 찾아보거나 더 알려고 노력할 것 같아서이다.

책을 읽으며 감정이입하고 놀라거나 존경할 필요까지는 없다. 생각에 종속되지 않는 나만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1. 일전에 비대칭 정보와 주인 대리인 이론에 관한 실증사례를 소개하고 그 극복에 관하여 아주 세세하고 미시적인 논의를 다루었던 책을 읽었는데 제목이 기억이 나지 않는다.

2. 어렴풋한 메커니즘 말고 상세하고 실증적인 자료와 이론을 통해 '처음' 화폐가 유통 - 태환(?) - 되고 중앙은행이 그 통제를 시작한 역사를 알고 싶다.

3. 지준율이 실제적 현실적 대안으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알아보고 금리 파급 경로와 메커니즘을 복습해 정리하고 재할인율과 국채 운용방식에 대한 상세한 사항을 알고 싶다.

4. EU 화폐 통합의 이유 및 필요성과 그 혜택과 영향을 알고 싶다.



자유롭고 능동적인 존재적 실존양식으로 학습하려는 나의 노력의 일환으로 가진 의문들이다. - ㅋㅋ.

5. 아프리카 빈국의 고통 원인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알고 싶다. 지리적으로 공산권과 인접치 않아 1세계에서 발전시킬 인센티브가 존재하지 않아서인가, 자원착취가 계속되고 있어서인가, 토양의 문제로서 기본적 농업생산성이 부진해서인가 등등이 궁금하다.

6. 만약 끊임없는 분열과 전쟁이 그 원인이라면 도대체 빈국인 아프리카에서 무기를 구입할 돈은 어디서 얻을 수 있는 것인가 그리고 그 의문에 대하여 문제제기를 하고 변화를 요구하는 시민단체가 있는가 궁금하다.

7. 효율적 교육을 통한 기술 발전과 저임금, 효율적 금융자원 배치와 외부 차관과 원조로 인해 '대충' 일본과 한국, 대만등이 발전했다고 가정한다면 유럽세계에서 끊임없는 견제를 받았던 독일이 몇번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발전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인지 정말 궁금하다.

8. 덴마크와 러시아, 중국, 독일, 아프리카의 역사가 특히 궁금하며 미국과 일본, 독일, 중국, 인도와 핀란드, 스웨덴, 영국, 프랑스의 산업구조와 고용인구 수용처가 궁금하며 북부유럽과 아프리카의 인구와 지리상 위치가 해당 국가의 경제력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궁금하다.

기존에 궁금하다고 하면서 능동적으로 찾을 생각은 별로 하지 않고 뒹굴거렸던 시절에 끄적여 놓은 것들이 있다. 자유로운 영혼으로 존재적 실존양식으로서 삶을 영위할 때 궁금하고 찾고 알고 싶은 것으로서 씨부려 놓고 나중에 레포트 따위의 형식으로 싸지르기로 한다. - ㅋㅋ.

9. 플라자 합의의 배경과 영향.

10. 소련 경제의 몰락 배경.

11. 브레튼 우즈 제도의 성립 배경과 향후 환율제도. - 공산권 대치와 수입력 및 석유 때문에 달러를 통용시키려 한 것인가?

12. Game Theory : 경제 범위가 작아지면 서로를 위한 경제 활동이 가능하다. - KBS 스페셜 볼로냐 조합이 인상깊다.

13. 주주 이득과 노동자 이득의 합치 : 노동자 자본에 대하여 - 생산수단의 공적 소유란 점에서 기존 생각과 비슷한 듯싶다.